경기도 이천시의 행정서비스를 관할하고 있는 이천시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시청에서는 아주 많고 다양한 업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시고 방문하시거나 업무를 보시는 것이 유용합니다.
이천시청을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천시청 홈페이지로 접속하시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포털사이트에서 이천시청을 검색하시면 간편하게 접속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이천시청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입니다. 많은 업무를 수행하는 시청이기 때문에 아주 다양한 메뉴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메뉴로는 종합민원, 시민참여, 열린행정, 이천소식, 이천소개의 메뉴가 있습니다.
민원 관련 세부 메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또한 전화번호 안내, 업무 및 직원검색, 조직도, 청사안내 등의 바로가기 메뉴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천시청은 시장 아래에 부시장이 있으며 그 아래의 조직으로는 자치행정국, 종합민원국, 복지문화국, 기업환경국, 안전도시건설국 등의 부서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이천시청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시청 업무를 보시기 전에 미리 확인하시고 방문하시면 아주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종합민원
민원안내
행정서비스헌장 종합민원실안내 민원수수료안내 무인민원발급안내 정부24(민원24) 110정부민원안내콜센터 새올전자민원창구
민원편의제도
민원사무편람 민원1회 방문처리제 어디서나민원 사전심사청구제 민원후견인 온라인 인·허가사전상담
민원신청안내
민원신청 정부24 구술 및 전화민원서비스 가족관계등록 주민등록/인감 여권민원 정보통신공사 민원
민원시책
야간민원센터운영 사회적배려창구 운영 전입생활안내서 폐업원스톱서비스 민원만족도조사 공개
지방세/세외수입
자동차민원
자동차등록 검사/보험 건설기계등록 이륜차 차량등록사업소
건축민원안내
건축허가 착공신고/연기 가설건축물허가 사용승인신청 용도변경허가 철거/멸실
시민제안
일반제안(국민신문고) 제안 알림사항 2020년 하반기 정책제안 공모전 이천시 생활방역 아이디어 공모전
주민참여예산
주민참여예산제란? 제안신청 자료실
설문조사
이천시 인구이야기
2000행복가족학교 인구이야기 아이키우기 통합소식 출생부터 노후까지 아이좋아라
행복한동행
열린게시판
자유게시판 칭찬게시판
각종 신고센터
시민옴부즈만 국민신문고 안전신문고 예산낭비신고 갑질피해신고 규제개혁신문고 공익신고센터 청탁금지법 신고센터 불법중개행위신고 식품안전소비자 신고 규제입증요청제 운영 부조리 신고센터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 사전정보공표 사전정보공표게시판 정보목록(2013년 이전)
행정정보
시정자료 수상현황 조직정보공개 정책실명제 청렴이천
계약정보
입찰정보 계약정보 대금지급 연간발주계획
법무행정
열린무료법률상담 열린무료법률상담 신청게시판 법률홈닥터 무료법률상담 고문변호사현황 온라인행정심판 자치법규정보시스템
예산·재정정보
예산현황 결산현황 재정운용현황 중기 지방재정 계획 기금운용계획 지방재정공시 업무추진비 공개 민간투자사업 현황
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 빅데이터 통계정보
이천소식
코로나19
코로나19 관리현황 코로나19 관련 지원안내 코로나19 홍보자료 생활속 거리두기 자가격리이탈신고센터 사회적 거리두기 5단계 개편안내
알림사항
공지사항 주간행사 생생경기소식 카드뉴스 축제/행사 소식
고시/공고
고시 일반공고 입법예고 입찰공고 채용공고 시험정보 개인정보 제3자 제공 공고 개인정보 위탁 공고 타기관 고시/공고
시정간행물(E-BOOK)
이천소식지 홍보책자 시정백서 이천시보 시지 연설문 보고서
보도자료
언론 해명자료
이천알리미 신청
이천의 역사
연혁 유래 이천의 인물
일반현황
기본현황 행정구역 행정지도 이천의 상징 시민헌장 이천애향가
유네스코창의도시 이천
창의도시 소개 창의도시 활동 창의도시 프로그램
교류도시
국외교류도시 국내교류도시
시청소개
청사안내 조직도 부서 팩스번호 오시는 길
열린시장실
이천시 읍면동
직도
공유하기인쇄
각 부서를 선택 하시면 해당 정보를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이천시 행정 전화번호 다운로드
시장
비서실
부시장
소통홍보
담당관
기획예산
담당관
감사법무
담당관
자치행정국
자치행정과
세정과
징수과
회계과
교육청소년과
정보통신과
종합민원국
민원봉사과
종합허가과
토지정보과
주택과
복지문화국
복지정책과
노인장애인과
여성정책과
아동보육과
문예관광과
도서관과
기업환경국
기업지원과
일자리정책과
환경보호과
자원관리과
산림공원과
안전도시건설국
안전총괄과
도시계획과
도시개발과
건설과
교통행정과
보건소
보건위생과
건강증진과
감염병관리과
보건지소 및 진료소
농업기술센터
농업정책과
축산과
농업진흥과
기술보급과
연구개발과
농업인상담소
상하수도사업소
수도과
하수과
민주화운동기념
공원사업소
운영지원과
시설관리과
체육지원센터
차량등록사업소
의회기구
의회사무과
읍면동
장호원읍
부발읍
신둔면
백사면
호법면
마장면
대월면
모가면
설성면
율면
창전동
증포동
중리동
관고동
청사안내
공유하기인쇄
지하1층
1층
2층
3층
4층
5층
6층
7층
8층
9층
지하 1층
지하1층 안내도 - 중앙감시실/방재센터, 차량지원실, 소대본부, 기동대, 교통정보센터, 민방위시설, 종합상황실, 지하주차장
농업정책과(구 농정과), 축산과는 1월 7일자 조직 개편으로 농업기술센터로 이전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청사 안내도 Information
지하1층 소대본부, 민방위시설, 예다움(여성휴게실)
1층 종합민원국장실, 민원봉사과, 종합허가과, 토지정보과, 주택과, CCTV통합관제센터, 방송스튜디오, 이천일자리센터
2층 열린시장실, 미래전략담당관, 세정과, 노인장애인과, 농협출장소
3층 휴게실/매점(채움늘), 식당
4층 홍보관광담당관, 예산작업실, 공무원노동조합사무실
5층 부시장실, 자치행정국장실, 기획예산담당관, 감사법무담당관, 자치행정과
6층 회계과, 정보통신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천분소), 전산교육장, 전산장비실
7층 기업환경국장실, 기업지원과, 환경보호과, 자원관리과, 산림공원과, 징수과, 체납실태조사반, 소상공인상담센터
8층 안전도시건설국장실, 건설과, 교통행정과, 교육청소년과, 안전총괄과, 재난상황실
9층 복지문화국장실, 복지정책과, 여성보육과, 문화예술과, 도시계획과, 도시개발과, 통계작업실, 체납실태조사팀, 무한돌봄팀, 법률상담실, 민주평통협의회
시청사 주차장 안내 - 아트홀 주차장에는 장애인 주차구역, 어르신우선 주차구역이 있습니다. 직원주차장에는 장애인 주차구역이 있습니다. 민원주차장에는 경차 주차구역, 장애인 주차구역, 어르신우선 주차구역, 임산부 주차구역이 있습니다. 시의회옆 주차장에는 임산부 주차구역, 장애인 주차구역이 있습니다.
오시는 길
공유하기인쇄
이천시청
100mKakao 지도로 이동
주소
경기 이천시 부악로 40(중리동)
전화
031-644-2000
승용차편
중부고속도로
서이천IC → 바로 좌회전 → 3.7km 직진 → 3번국도에서 우회전 → 3.9km 직진 → 증일사거리(우회전) → 이천시청
영동고속도로
이천IC → 3번국도(서울방향) 5.4km 직진 → 증일사거리(좌회전) → 이천시청
3번국도(성남~장호원 고속국도)
서울(잠실역)에서 출발 시 약 1시간 가량 소요
대중교통 이용시
주변정류장
1이천시청, 이천세무서 (중일1통입구 방면)버스 운행정보
91m 이동(부악로) → 왼쪽길로 69m 이동 → 이천시청 도착
2이천시청, 이천세무서 (설봉산입구 방면)버스 운행정보
45m 이동(부악로) → 횡단보도 이용 → 이천시청 40까지 52m 이동 → 이천시청 40 앞에서 왼쪽길로 26m 이동 → 이천시청 도착
휠체어 출입구 안내
1시청 1층 주 출입구 및 시의회청사 주차장 출입구
2시청 2층 주 출입구
현재는 코로나19 발생에 따라 시청2층 주 출입구로만 시청출입이 가능합니다!
부서 팩스번호
공유하기인쇄
각 부서의 팩스번호를 알려드립니다.
시장
시장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미래전략담당관 031-631-2021 0502-696-2000
부시장
부시장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부시장실 031-631-2074 0502-696-2001
기획예산담당관 031-631-2198 0502-696-2002
감사법무담당관 031-647-8545 0502-696-2003
홍보관광담당관 031-634-6772 0502-696-2031
자치행정국
자치행정국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자치행정과 031-631-2149 0502-696-2004
세정과 031-631-2461 0502-696-2006
징수과 031-635-8374 0502-696-2035
회계과 031-631-2463 0502-696-2007
교육청소년과 031-631-2158 0502-696-2008
정보통신과 031-637-9800 0502-696-2010
종합민원국
종합민원국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민원봉사과 031-631-2451 0502-696-2057
종합허가과 031-638-6054 0502-696-2027
토지정보과 031-633-8011 0502-696-2005
주택과 031-638-6056 0502-696-2026
복지문화국
복지문화국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복지정책과 031-631-2269 0502-696-2011
노인장애인과 031-631-2167 0502-696-2012
여성보육과 031-631-8042 0502-696-2013
문화예술과 031-631-2579 0502-696-2014
도서관과 031-631-2419 0502-696-2009
기업환경국
기업환경국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기업지원과 031-631-2519 0502-696-2015
환경보호과 031-631-2684 0502-696-2016
자원관리과 031-638-6050 0502-696-2017
산림공원과 031-638-6058 0502-696-2023
안전도시건설국
안전도시건설국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안전총괄과 031-638-6057 0502-696-2020
도시계획과 031-638-6059 0502-696-2024
도시개발과 031-631-7239 0502-696-2025
건설과 031-638-6053
교통행정과 031-638-6055 0502-696-2022
의회사무과
의회사무과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의회사무과 031-631-2980 0502-696-2028
보건소
보건소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보건위생과 031-634-4000 0502-696-2029
보건사업과 031-631-2740 0502-696-2030
농업기술센터
농업기술센터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농업정책과 031-638-6051 0502-696-2018
축산과 031-638-6052 0502-696-2019
농업진흥과 031-632-5959 0502-696-2032
기술보급과 031-633-1058 0502-696-2033
연구개발과 031-633-1058 0502-696-2034
상하수도사업소
상하수도사업소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수도과 031-631-2749 0502-696-2036
하수과 031-631-2759 0502-696-2037
민주화운동기념공원
민주화운동기념공원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운영지원과 031-631-2127 0502-696-2038
시설관리과 031-633-8466 0502-696-2039
사업소
사업소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체육지원센터 031-631-2769 0502-696-2040
이천아트홀 031-631-2093 0502-696-2041
차량등록사업소 031-631-2540 0502-696-2042
읍면동
읍면동안내 -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명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장호원읍 031-641-2830 0502-696-2043
부발읍 031-631-2843 0502-696-2044
신둔면 031-634-7181 0502-696-2045
백사면 031-631-2846 0502-696-2046
호법면 031-631-2847 0502-696-2047
마장면 031-631-2853 0502-696-2048
대월면 031-631-2863 0502-696-2049
모가면 031-631-2866 0502-696-2050
설성면 031-641-2870 0502-696-2051
율면 031-641-2876 0502-696-2052
창전동 031-633-0470 0502-696-2053
증포동 031-631-2879 0502-696-2054
중리동 031-631-3752 0502-696-2055
관고동 031-631-2891 0502-696-2056
종합민원실안내
공유하기인쇄
2020년 국민행복민원실 평가 최우수 기관 선정!
이천시 종합민원실이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0년 국민행복민원실 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어 대통령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선제적인 민원서비스를 통해 시민들이 행복한 민원실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시민여러분! 감사합니다!
2020년도 국민행복민원실, 인증기간 : 2020. 12. 8. ~ 2023. 12. 31
종합민원실 안내도 다운로드
종합민원실 배치도 이미지 - 자세한 설명은 아래 참조
신규등록
공유하기인쇄
신규등록
국내·국외에서 제작 판매하는 자동차와 말소된 자동차를 재등록하는 등, 등록되지 않은 자동차 또는 말소등록 된 자동차를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수료
경기도 - 2,000원 그외 시군 - 2,500원
관련법규
자동차관리법 제8조, 제27조, 자동차관리법 시행령 제7조,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26조∼제30조
임시운행허가기간
신규등록 10일
수 출 20일
자기인증에 필요한 시험 또는 확인 40일
시험, 연구를 목적으로 운행 2년의 범위내
기타 건설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6월
구비서류(공통서류 + 해당추가서류 준비)
자동차 신규등록 구비서류 - 구분, 구비서류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 분 구 비 서 류
공통서류
임시운행허가신청서
책임보험 가입증명서
신분증(위임시 - 위임장, 위임받은자 신분증)
추가서류 신규출고 자동차제작증
수입차량 수입신고필증
수출차량 말소사실증명서(용도 - 수출선적증명용)
부활등록 말소사실증명서(용도 - 부활등록용)
시험연구
시험연구계획서
사업자등록증사본(업종 : 연구용역)
차대각자
연구소 인정서
기 타 건설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인정서
임시운행허가증 및 번호판 반납
임시운행허가 기간내 반납하여야 하며 기간경과시 과태료부과
자동차 결함등 사유로 등록이 불가능하면 판매업체를 통하여 반납기간내 반납하여야 합니다.(매출취소)
신규등록 기간내 부득이한 사유로 등록이 불가능 할 경우 사전에 임시번호판 및 허가증을 반납 할 수 있습니다. 단 추가로 임시번호 및 허가증 발급은 불가능하나 신규등록은 가능 합니다. (반납 후 운행 절대불가)
위반시 과태료
위반시 과태료 - 구분, 기간, 금액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 분 기 간 금 액
운행목적기간위반 만료일로부터 10일 이내 10일초과 후 매1일 초과시 3만원1만원추가 - 최고 100만원
목적위반운행 적발과 동시 50만원
임시번호판 미부착운행 적발과 동시 10만원
임시번호판 미반납 만료일로부터 10일 이내 10일초과 후 매1일 초과시 3만원1만원추가 - 최고 100만원
건축허가
공유하기인쇄
안내
건축허가 안내 - 관련법 및 제도, 처리기간, 사무내용 및 대상, 관련서류, 비용 및 수수료, 업무처리절차 및 유의사항, 기타사항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법 및 제도 건축법 제11조
처리기간 2 ~ 90일(규모, 용도에 따라 상이)
사무내용 및 대상 건축법 제14조에 의한 건축신고대상 건축물을 제외한 모든 건축물 안내사항신고대상건축물
도시지역내 : 100㎡미만 건축물(증.개축은 85㎡이내)
읍면지역은 200㎡이하 농업및수산업용 창고, 400㎡이하 축사, 작물재배사
도시지역외 : 200㎡ 3층미만 건축물
관련서류
신청서
건축할 대지의 범위와 그 대지의 소유 또는 그 사용에 관한 권리를 증명하는 서류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2의 설계도서
건축법 제11조 제5항 규정에 의한 일괄신청 인허가 관련서류(개발행위, 산지전용허가, 개인하수처리시설설치신고등)
비용 및 수수료
수수료 : 이천시건축조례 별표1 참조
면허세 납부
업무처리절차 및 유의사항 인터넷 세움터상 신청서 제출(민원인) → 서류검토 및 실과소(유관기관) 협의(담당자) → (보완) → 건축허가 처리 안내사항건축과 소관구분
건축관리팀 : 1,000㎡이상 건축물(공장, 축사제외)
건축민원팀 : 1,000㎡미만 건축물(1,000㎡이상 공장,축사)
기타사항 처 리 과 종합허가과 건축민원1팀/건축민원2팀
처 리 과 주택과 건축관리팀
건축·대수선·용도변경허가신청서 파일 다운로드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제6조제1항 관련)
건축허가에 필요한 설계도서(제6조제 1항 관련) 안내 - 도서의 종류, 도서의축척, 표시하여야 할 사항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도서의 종류 도서의축척 표시하여야 할 사항
건축계획서 임의
개요(위치·대지면적 등)
지역·지구 및 도시계획사항
건축물의 규모(건축면적·연면적·높이·층수 등)
건축물의 용도별 면적
주차장규모
에너지절약계획서(해당건축물에 한한다)
노인 및 장애인 등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계획서(관계법령에 의하여 설치의무가 있는 경우에 한한다)
배치도 임의
축척 및 방위
대지에 접한 도로의 길이 및 너비
대지의 종·횡단면도
건축선 및 대지경계선으로부터 건축물까지의 거리
주차동선 및 옥외주차계획
공개공지 및 조경계획
평면도 임의
1층 및 기준층 평면도
기둥·벽·창문 등의 위치
방화구획 및 방화문의 위치
복도 및 계단의 위치
승강기의 위치
입면도 임의
2면 이상의 입면계획
외부마감재료
단면도 임의
종·횡단면도
건축물의 높이, 각층의 높이 및 반자높이
구조도
(구조안전확인대상건축물) 임의
구조내력상 주요한 부분의 평면 및 단면
주요부분의 상세도면
시방서 임의
시방내용(건설교통부장관이 작성한 표준시방서에 없는 공법인 경우에 한한다)
흙막이공법 및 도면
실내마감도 임의 벽 및 반자의 마감의 종류
소방설비도 임의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방관서의 장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건축물의 해당소방 관련 설비
건축설비도 임의 냉·난방설비, 위생설비, 환경설비, 전기설비, 통신설비, 승강설비 등 건축설비
토지굴착 및 옹벽도 임의
지하매설구조물 현황
흙막이 구조(지하 2층 이상의 지하층을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단면상세
옹벽구조
건축허가 등의 수수료 범위(제10조 관련)
건축허가 등의 수수료 범위(제10조 관련) - 연면적합계, 종별, 금액(원)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면적합계 종별 금액(원)
200㎡ 미만 단독주택 4,000
기타 9,400
200㎡ ~ 1천㎡ 단독주택 6,000
기타 20,000
1천㎡ ~ 5천㎡ 공통 54,000
5천㎡ ~ 1만㎡ 공통 100,000
1만㎡ ~ 3만㎡ 공통 200,000
3만㎡ ~ 10만㎡ 공통 410,000
10만㎡ ~ 30만㎡ 공통 810,000
30만㎡이상 공통 1,620,000안내사항설계변경의 경우에는 변경하는 부분의 면적에 따라 적용한다.
여권발급안내
공유하기인쇄
여권발급안내
2010.1.1부터 달라진 여권 제도
여권발급신청시 지문대조를 통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합니다.
여권법 제8조 및 동법 시행령 제4조에 따라 2010.1.1부터 여권발급 신청시 본인여부 확인을 위하여 지문 채취 및 대조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여권발급 신청 시 만18세 이상의 대상자는 모두 지문을 채취하며, 양손검지의 오른쪽 먼저, 왼쪽 나중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채취된 지문은 여권발급과 동시에 삭제되기 때문에 다른 용도로 쓰이거나 유출되지 않습니다.
여권발급 수수료를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국민들의 편의도모를 위하여 2010.1.1부터 여권발급수수료를 신용카드로도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이천시 여권사무 대행기관 개요
2008.4.28일부터 여권사무 대행기관으로 지정되어 여권민원을 처리해 드리고 있습니다.
장소 이천시청 1층 종합민원실(이천시 부악로 40)
시간 월 ~ 금요일 09:00∼18:00(17:30까지 방문해야 접수 가능)
수령 방문수령(월 ~ 금 : 9:00 ~ 18:00), 등기우편수령(여권접수 시에만 신청가능)
처리기간
4일(토·일요일·공휴일 제외) 안내사항야간민원실 운영 : 현재 코로나19로 인하여 운영하지 않음
운영시간 : 매주 화, 목요일 18:00 ~ 20:00( 안내사항화, 목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와 12월 31일은 휴무)
운영업무 : 여권접수 및 교부(안내사항사증추가 및 여권사실증명서 발급 불가)
처리기간 : 5일(토·일요일·공휴일 제외)
문의 031) 644-2431, 2433, 2124
여권발급신청시 준비사항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은 효력이 있는 증
구여권
여권의 만료기간이 지나지 않은 것으로, 구여권반납처리가 되어야 신여권의 신청이 가능함
여권용사진 2매(1매소요,1매 여유분)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한 흰색바탕 무배경의 상반신 정면 탈모사진으로 가능한 범위내 눈썹과 귀 부분이 잘 보이고 얼굴실물 크기가 정수리부분에서 턱부분까지 3.2㎝ ~ 3.6㎝의 칼라 사진
여권용 사진은 바탕색이 흰색이므로 사진촬영시 어깨선이 분명히 드러나도록 짙은 색상의 의상 착용
여권용 사진 규격 자세히 보기 바로가기
수수료 (아래 표 참고)
현금, 카드결제 가능
여권발급신청서 1부 (소정양식 민원실 비치)
출력하여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칼라프린터로 인쇄(축소 확대, 워드작성 불가)
검정색 펜으로 기재, 영문성명은 대문자로 기재하여야 함
메모해 올 사항 : 국내 긴급연락처
18세미만의 미성년자의 여권발급 신청시: 미성년자의 기본증명서와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함
경고단, 여권신청 시 행정정보공동이용 서비스 이용에 동의를 하시면, 접수자가 공용으로 열람확인이 가능하므로 제출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전자여권발급신청서 바로가기
국외여행허가서
대체의무복무자(병무청)
현역복무중인 만 37세 이하의 남자군인 (소속부대장)
6개월 이내에 전역예정자는 전역예정일이 명시된 전역예정증명서 (소속부대장)
병역미필자에 대한 단수여권제도 폐지, 복수여권(5년) 발급 시행으로 국외여행허가서 불필요(단, 병역미필자는 여권이 있더라도 국외여행허가가 없는 경우 출국할 수 없음. → 병무청 문의)
대리신청제 폐지
2008. 8. 25 부터 여권발급 대리신청제도 폐지, 본인직접신청 의무화
여권법 개정 시행으로 2008.8.25.부터는 여권발급 신청시 가족이나 여행사 등에서 대행해 오던 대리신청제도가 폐지되고 만18세이상은 본인이 직접 여권 발급을 신청해 야 함
만 18세 미만의 미성년자는 법정대리인인 부모 중 한사람이 대리로 신청하고 미성년자는 지문채취를 하지 않으므로 방문하지 않아도 됨.
여권 방문 수령시 지참물
본인수령(미성년자 제외)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및 접수증
대리인 수령
여권명의인과 대리인 모두의 신분증 및 위임장(접수증)
유의사항
신분증이 없으면 여권을 수령할 수 없습니다.
유효기간 만료 또는 분실 등으로 효력이 상실된 신분증은 신분증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발급된 여권은 발급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찾아가지 않으면 여권법 제9조 제1항에 의거 직권폐기됩니다
여권발급에 관한 수수료
여권발급에 관한 수수료안내 - 종류, 구분, 여권발급 수수료, 국제교류 기여금, 수수료 합계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종류 구분 여권발급 수수료 국제교류 기여금 수수료 합계
전자여권 복수여권 10년 48면 38,000 15,000 53,000
24면(알뜰여권) 35,000 15,000 50,000
5년(만8세 ~ 18세) 48면 33,000 12,000 45,000
24면(알뜰여권) 30,000 12,000 42,000
5년(만8세 미만) 48면 33,000 33,000
24면(알뜰여권) 30,000 30,000
5년미만 (만24세 미만 군미필자) 15,000 15,000
단수여권 1년(1회용) 15,000 5,000 20,000
기타 기재사항변경(사증추가) 5,000 5,000
잔여기간 부여 25,000 25,000
알뜰여권 발급 (시행일: 2014. 4. 1)
복수여권 발급 시 기존 48면의 여권 외에 민원인의 선택에 따라 비용이 저렴한 24면의 알뜰여권 발급
여권관련 사이트
외교통상부 해외안전여행
바로가기
비자면제프로그램(VWP)
바로가기
전자여행허가제(ESTA)
바로가기